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맑음동해 31.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울릉도 31.5℃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포항 31.4℃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맑음서귀포 30.8℃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보령 29.9℃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안전/재난

중국 연계 해커 ‘솔트 타이푼’, 미국 전 국민 정보 탈취 의혹

80개국 대상 역대 최대 규모 사이버 공격…민간인까지 피해 확산

사진출처 : 국민일보 

 

가디언뉴스 김태훈 기자 ㅣ “솔트 타이푼” 美 전 국민 해킹 의혹…중국 연계 해커, 역대 최대 규모 사이버 공격

미국 전 국민의 정보가 중국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 집단에 의해 탈취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현지 시각 4일, ‘솔트 타이푼(Salt Typhoon)’ 등으로 불리는 해커 조직이 수년간 사이버 공격을 이어와 미국인 대부분의 정보를 빼갔을 수 있다고 당국자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 당국과 전문가들은 1년에 걸친 합동 조사 끝에 이들의 공격이 80개국 이상을 겨냥한 역대 최대 규모 해킹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FBI 등 13개국 합동 보고서 발표

연방수사국(FBI)과 미국의 동맹국 12개국의 수사·정보기관은 합동조사 보고서를 통해, ‘솔트 타이푼’이 늦어도 2021년부터 수년간 대형 통신·운송·숙박 업체 등에 침투해 조직적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최소 3곳의 중국 기술 기업과 연계돼 있으며, 해당 기업들은 중국의 정보기관 및 군사정보기관을 위해 해외 작전을 수행해온 것으로 지목됐다.

트럼프·밴스 포함 정치인도 표적

해커들의 주요 목표는 표적 인사의 대화와 움직임을 중국 당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었다. 피해 대상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 민주당 인사들까지 포함됐다. 미 상원 정보위원회 마크 워너 민주당 간사는 해커들이 전화 통화 내용과 암호화되지 않은 문자메시지에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민간인까지 광범위 침투

이번 공격은 ‘APT(지능형 지속 공격)’ 방식으로 수주에서 수년간 끈질기게 취약점을 노리는 형태였다. 그러나 과거 주로 정부기관과 안보 분야 인물을 겨냥했던 해킹과 달리, 이번에는 일반 민간인까지 대규모로 피해를 본 점이 특징이다. FBI 사이버 분과 전 수석요원 신시아 카이저는 “피해를 보지 않은 미국인이 남아있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 “중국, 디지털 전장 지배자”

제니퍼 유뱅크 전 CIA 디지털 혁신 부문 부국장은 “솔트 타이푼은 중국 해킹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과거 초보적이던 중국의 해킹 수준은 이제 높은 기술적 정교함, 인내심, 끈기를 특징으로 하며, 80개국 이상의 기반 시설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을 지낸 앤 노이버거는 “이번 사건은 일회성 정보 작전이 아니라, 중국이 디지털 전투 공간의 지배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