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TV조선
가디언뉴스 김기홍 기자 |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2'가 오는 9월 10일 개봉을 앞둔 가운데, 영화의 지하철 광고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본 작품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을 다루고 있으며, 지난 8월 코레일과 대구교통공사가 각각 서울과 대구 지역 지하철 광고 게시를 두고 입장을 번복하거나 광고 승인을 거부하는 일이 발생했다.
코레일은 광고 초기 심의를 통해 광고 게재를 승인했지만, 이후 일부 민원이 제기되자 "정치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며 광고 철거 명령을 내렸다. 계약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러운 입장 변경에 영화 관계자들은 큰 반발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1편 광고는 문제 없이 진행된 점을 감안할 때, 이번 2편 광고 철거 요구는 일종의 ‘문화 블랙리스트’식 차별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구교통공사 역시 광고 게재를 승인하지 않으며 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대구교통공사는 광고 심의 절차조차 거치지 않은 채 지역 특성상 정치적 광고는 불승인이라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공공기관 간 사전 조율과 명확한 기준 부재를 드러냈다. 영화 감독과 언론은 이러한 태도를 공공기관의 자의적 행정이며,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로 평가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대중적 관심을 받는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해 좌우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공정한 대우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근거 없는 결정을 뒤집는 과정에서 공공기관의 명확하지 않은 광고 심사 기준과 절차적 공정성 결여가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코레일은 논란이 커지자 광고 계약 기간 동안은 광고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민원 상황이 재발하면 철거 명령을 다시 내릴 수 있음을 내비쳐 불안정한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논란은 문화 예술의 표현 자유와 공공기관의 행정적 책임 사이에서 균형을 찾지 못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명확하고 일관된 기준 마련과 함께 표현의 자유 보장을 위한 사회적 합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