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디언뉴스 이광신 기자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함께 9월 24일 서울 성암아트홀에서 ‘딸기 농가를 위한 스마트팜 기술설명회’를 연다.
이번 설명회는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딸기 단동형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융합 모형’을 중심으로 농가와 기업에 최신 스마트팜 기술을 알리고, 보급 관련 상담도 마련하는 자리이다.
스마트팜 기술 개발자들이 직접 기술 개발 배경, 실제 농가 적용 효과 등 연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이야기 공연(토크콘서트) 방식으로 펼쳐진다. 또한, 기술 관련 궁금한 점을 개발자에게 직접 듣는 질의응답과 기술이전 상담까지 한 자리에서 진행해 참가자들이 ‘딸기 단동형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융합 모형’을 쉽게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딸기 단동형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융합 모형’은 환경 관리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를 목적으로 농촌진흥청과 산업체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요소 기술을 묶은 것이다. 기존 시설을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필요한 기술만 선택해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번에 제안하는 모든 요소 기술을 기존 단동온실에 풀옵션으로 적용하면 1,000평당 2억 6,000만 원이 추가 소요된다. 하지만, 일반 온실보다 생산량은 83%, 연간 수익은 약 3.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3년 정도면 투자비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 모형을 적용하면 딸기 생산성 우수 농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작물 관리를 할 수 있어 청년 창업농, 초보 농업인 등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 조용빈 부장은 “이번 기술설명회는 청년 창업농, 초보 농업인이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스마트팜 기술을 직접 보고 경험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며, “수요자 맞춤형 기술을 종합적으로 제공해 지속 가능한 스마트농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안호근 원장은 “케이(K)-스마트팜 묶음(패키지) 기술이 농업 혁신을 이끄는 핵심 모형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