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구름조금동두천 8.4℃
  • 구름조금강릉 10.2℃
  • 구름조금동해 10.4℃
  • 구름많음서울 11.9℃
  • 맑음울릉도 13.7℃
  • 연무청주 12.0℃
  • 박무대전 9.8℃
  • 구름조금포항 14.4℃
  • 맑음대구 11.3℃
  • 구름많음울산 12.7℃
  • 맑음광주 14.0℃
  • 구름많음부산 15.0℃
  • 맑음고창 10.5℃
  • 구름조금제주 17.2℃
  • 맑음서귀포 17.7℃
  • 맑음강화 8.4℃
  • 맑음보은 7.6℃
  • 맑음천안 7.2℃
  • 맑음보령 11.8℃
  • 맑음강진군 10.1℃
  • 구름조금경주시 10.7℃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국제/외교

중국, 일부 지역서 카카오톡 접속 재개

한중 해빙 무드 속 제한적 변화…정부 “정책 변화 판단은 이르다”

 

가디언뉴스 이광신 기자ㅣ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냉각됐던 한중 관계에 해빙 기류가 감지되는 가운데, 최근 중국 일부 지역에서 가상사설망(VPN) 없이도 카카오톡 접속이 가능하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다만 우리 정부는 “정책적 변화로 보기엔 이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베이징과 상하이 등지의 교민들 사이에서는 “VPN을 사용하지 않고도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이 가능해졌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중국의 SNS ‘샤오훙슈(小红书)’에서도 “카카오톡이 다시 열린 것 같다”는 게시물이 확산되며 화제가 됐다.

그러나 외교부는 5일 “중국 내 지역별, 서비스별로 접속 상황이 다르다”며 “특정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는 기술적·정책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히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카카오톡 차단을 해제했다’는 일부 해석에 선을 긋는 발언이다.

실제로 상하이나 톈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진 전송, 친구 추가, 동영상 송신 등의 기능이 제한되고 있다. 기자가 현지 접속 환경을 점검한 결과, 메시지는 10회 중 1~2회 정도만 전송 가능했으며, 멀티미디어 파일은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014년 7월부터 카카오톡과 라인 등 외국 메신저 앱에 대한 접속을 차단해왔다. 당시 중국 정부는 ‘테러 관련 정보가 유통되는 우려’를 이유로 들었다. 이후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해외 주요 플랫폼도 지속적으로 통제되어 왔다.

이번 제한적 접속 재개가 한중 정상회담 이후의 ‘화해 신호’인지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시적 네트워크 조정의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며 “정책 변화로 해석하기엔 근거가 부족하다”고 분석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다양한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번 사안 역시 민간 교류의 자연스러운 확대 흐름 속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 측은 “중국 내 접속 관련해 내부 시스템상 특이사항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결국 이번 현상은 한중 간 외교적 분위기 개선과 맞물린 ‘부분적 변화’일 뿐, 제도적 전환으로 단정하긴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다만 교류 확대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