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KBS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2026년 지방선거가 약 9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는 본격적인 공천 준비와 함께 선거 전략 수립에 분주한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공천 혁신을 핵심 과제로 내세웠지만 그 접근 방식에는 일부 차이가 있다.
민주당은 ‘컷오프’ 제도 폐지와 현역 프리미엄 제한을 통해 공천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현역 의원과 신인 모두가 경쟁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특히 수도권 최대 격전지인 경기도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허니문 효과’를 십분 활용해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당내에서는 후보자들이 공개적으로 자신을 알리고 경쟁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다. 이러한 공천 혁신은 정청래 대표 체제 아래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현역 의원의 의정활동과 당내 기여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해 공천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장동혁 대표는 ‘열심히 싸운 사람만이 공천받는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계파색과 지역 의존도를 줄이고 청년 정치인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기존에 확보한 지방 권력 사수를 목표로 하면서도, 지역 민심에 맞는 공천으로 이미지 쇄신을 꾀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 강세 지역인 전북에서는 조국혁신당의 등장으로 공천 경쟁과 선거 판도가 더욱 복잡해졌다. 민주당 후보들 간의 경선 경쟁 외에도 새로운 신당과의 본선 경쟁 가능성이 커지면서 전략과 공천이 한층 까다로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조직 내 갈등, 지역별 민심의 다양한 요구, 그리고 평가 기준의 주관성 등이 공천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지방선거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각 당은 공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절치부심하고 있다.
결국 이번 지방선거는 공천 혁신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를 발휘하는지, 그리고 유권자들이 후보자와 정책에 얼마나 신뢰를 보내느냐가 승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선거 결과는 단순히 표심의 전환뿐만 아니라, 한국 지방 정치의 미래 지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순간으로 기록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