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YTN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2025년 8월 기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주요 경제 지표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예일대와 미 노동부, GM 등 주요 기관과 기업의 공식 발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은 17.7~18.2%로 1934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트럼프 정부는 현재 EU, 일본, 한국 등 60여 개국에서 수입되는 소비재와 중간재에 대해 추가·상향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에는 30~50%의 초고율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관세 정책의 여파로 2025년 6월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은 전년 동월 대비 2.7%를 기록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식품 가격은 같은 기간 3.0% 상승했으며, 신발·의류 등 개별 수입 소비재 품목의 구체적 상승률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생활필수품을 비롯한 전반적 물가 부담 확대가 감지된다.
고용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는 7만 3,000개로, 시장의 예상치(11만 개)를 크게 하회했다. 특히 6월 신규 일자리는 기존 수치에서 1만 4,000개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7월 실업률은 4.2%로, 6월(4.1%) 대비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대표 제조업체인 GM도 관세 부담을 직격탄으로 받고 있다. 2025년 2분기 GM의 순이익은 1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4% 감소했다. 비슷한 기간 매출은 471억 달러로 1.8% 줄었으며, 북미 지역 영업이익(EBIT) 역시 45.5% 급감했다. GM 측은 관세로 인한 직접 비용이 11억 달러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민경제 전체 측면에서는 2025년 2분기 미국 실질 GDP가 3.0% 성장했으나, 1분기에는 –0.5%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분기 변동성이 커졌다. 공식 통계기관 발표에서 '경기 위축' 등 판단을 내리진 않았으나, 업계와 전문가들은 관세 확대가 내수와 기업 실적, 고용 등에 부정적 충격을 주고 있다는 의견을 계속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