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채널A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한국갤럽이 5월 23일 발표한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6%포인트 하락했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각각 7%포인트, 2%포인트 상승했다. 이로써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 격차는 지난주 22%포인트에서 9%포인트로 크게 좁혀졌다. 특히 이준석 후보는 갤럽 조사에서 처음으로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하며, 3강 구도가 현실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2%, 국민의힘이 36%, 개혁신당이 6%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6%포인트 하락, 국민의힘은 6%포인트 상승해 양당 간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줄었다. 개혁신당의 정당 지지도 역시 창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영남권에서 김문수 후보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대구·경북(TK)에서는 김 후보가 60%의 지지율로 이재명 후보(22%)를 크게 앞섰고, 부산·울산·경남(PK)에서도 김 후보가 45%, 이 후보가 36%로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수도권 역시 김 후보의 상승세와 이 후보의 하락세가 동시에 관측됐다. 서울에서 이재명 후보는 46%, 김문수 후보는 35%를 기록했고, 인천·경기에서는 이 후보가 48%, 김 후보가 32%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 결과는 대선이 본격화되면서 각 후보 간 지지율 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준석 후보의 두 자릿수 지지율 진입은 보수 진영 내 표 분산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을 단순 합산할 경우 46%로, 이재명 후보(45%)를 앞서는 수치다. 이는 향후 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 논의와 선거 전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 상승이 중도 및 무당층 일부의 표심 이동과 맞물려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9%, 김문수 후보가 25%, 이준석 후보가 14%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무당층 비율도 13%로, 지난 대선을 비롯한 주요 선거 직전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부동층의 표심 향방이 남은 선거 기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대선 정국이 3강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두 자릿수로 올라서면서, 보수 표심 결집과 단일화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동시에 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정당 지지도 변동폭이 커진 만큼, 남은 선거 기간 각 진영의 전략 변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