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가디언뉴스 김재한 기자 | 지난 주말,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로 한 단계 내렸다. 이로써 미국은 3대 신용평가사 모두에게 최고 등급을 잃게 됐다. 미국의 재정적자와 부채 부담이 주된 이유다. 무디스는 “정부 부채가 이미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대규모 감세안이 이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에 한국 정부와 금융당국은 즉각 시장 상황 점검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한국은행 등과 함께 긴급 회의를 열고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코스피는 이날 0.5% 하락하며 출발했지만, 시장은 비교적 차분한 모습을 보였다. 정부는 “이미 예고된 조치였고, 과거 S&P(2011년), 피치(2023년)의 신용등급 하향 때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평가했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미국 국채 신뢰도 하락과 금리 상승은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자극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오르며, 시장이 패닉 반응을 보인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와 환율도 일시적으로 출렁일 수밖에 없다. 한국 정부도 “단기적으로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이라고 인정했다.
하지만 이번 강등이 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무디스가 이미 지난해부터 미국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췄고, 투자자들도 어느 정도 예견한 조치였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의 기초 체력과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도 여전히 강력하다. 무디스 역시 “미국 경제의 회복력과 달러의 위상은 국가에 상당한 신용 지원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재정적자와 부채 문제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남을 수 있다. 미국의 차입 비용이 높아지면, 글로벌 자금 조달 비용도 오를 수 있다. 이는 한국 기업과 정부의 해외 차입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또 미국의 금리 인상 압력이 커지면, 원화 약세와 외국인 자금 이탈 등 한국 금융시장에 추가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는 “국가부채 이슈를 계속 주시하며,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단기적으로는 충격을 주지만,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이번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한국경제에 단기적 변동성 요인이지만, 구조적 충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다만 미국 재정 리스크가 반복될 경우,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은 한동안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시장의 긴장감도 그만큼 길어질 전망이다.